본문 바로가기
기타

히스타민의 활성형 구조

by 함께하자 2023. 2. 19.
728x90
반응형

 H, 수용체 작용구조
(1) 일양이온이 히스타민의 활성형이다.
생리적 pH에서 이양이온의 형성이 아주 낮은 화합물도 상당한 히스타민양 작용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아 이양이온이 활성형이 아닌 것으로 생각된다. 예로, 2-thiazolylethylamine(그림 14-3A)은 고리 pKa가 1.5로 10%의 이양이온을 가지나 H1 작용이 히스타민의 26%이며 1,2,4triazol-3-yl-ethylamine(그림 14-3B)도 유사한 pKa를 가지나 H1, 작용은 12.7%, H2 작용은 6.8%를 나타내었다.
비전하 화학종이 활성형인 증거는 없다. 실제 히스타민 동족체 활성구조는 겉사슬아민이 염기성으로 생리적 pH에서 양이온으로 존재하며 N,N-디메틸 화합물 (그림 14-3C)은 Hi,Hz- 수용체 활성이 각각 44% (기니아픽 회장 수축), 19 또는 60% (위산분비)로 보고되어있다.
이때 일양이온의 양성자가 수용체와 수소결합시 단순히 양성자 공여역할을 하는 것이 아니라는 증거로 N-아세틸 화합물 (그림 14-3D)이 활성이 없음이 제시되었다. 다른 가능성은 히스타민의 결사슬 양이온이 히스타민 수용체의 음이온 부위와 결합하리라는 것인데 히스타민의 4차 암모늄염(그림 14-3E)도 작지만(히스타민의 1%) H1-수용체 활성을 나타낸다. 그러나 H2-수용체 작용은 거의 없다.

(2) 활성형 토우토머는 N'-H이다.
히스타민의 활성형 토우토머가 N' -H일 가능성은 N* 비양성자첨가 염기성 질소가 히스타민의 활성에 필수적이라는 사실로 제시되었다. 일련의 pyridyl 화합물에서 2-pyridylethylamine(그림 14-3F)만이 활성이 있었고 3- 또는 4-pyridylethylamine (그림 14-3G, H은 활성을 나타내지 못하였다. 또한 이러한 예는 H1-수용체 작용에서 이미다졸 고리의 양성자 전달계로의 역할이 중요하지 않음을 의미하며 H2-수용체 작용과는 다르다.


(3) 활성형 형태는 트란스이다.
히스타민은 H1-수용체와 H2-수용체에 작용하는 점에서 서로 다른 형태로 각각 두 수용체와 작용하리라는 가정이 제시되었다. 이것을 증명하기 위하여 서로 다른 형태를 가질 수 있는 유도체 또는 형태가 고정된 구조를 합성하여 실험하였다.
히스타민의 이미다졸 고리에 메틸기를 도입한 화합물의 경우 2-메틸히스타민 (그림 14-31)은 H1-수용체 작용이 있는 반면에 4-메틸히스타민 (그림 14-3J)은 H2-수용체 작용이 있다. 이 두 화합물의 형태분석 결과 2-메틸히스타민은 완전연장형태 (트란스)를 가지는 반면 4-메틸히스타민은 빗놓인 형태에 가까운 구조를 가진다.
H-수용체에 작용하는 형태는 걷사슬 탄소와 질소가 고리와 동일평면상에 있으며 이때 N'질소와 결사슬 암모늄 사이의 거리는 5.1Å이다. H1, H2-수용체 작용형태를 분명히 증명하기 위하여 형태가 고정된 구조를 합성하였으나 완전하지 못하였다.

▲ 그림 14-3 히스타민의 활성형구조를 입증하기위한 화합물

728x90
반응형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H1- 수용체 길항제  (0) 2023.02.19
H1, H2 수용체 작용의 차이  (0) 2023.02.19
항알레르기성 약물  (0) 2023.02.19
기체 크로마토그래피(10), 정량분석  (0) 2023.02.18
기체 크로마토그래피(9), 정성분석  (0) 2023.02.18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