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특허등록제품

행복의자, 휴대용 농업 작업 - 특허기술

by 함께하자 2022. 9. 20.
728x90
반응형

농업환경은 허리 51.8%, 무릎 50.9%로 통증느끼는 분이 많다.

농촌에서 마대깔고 앉아 쪼그려 않아서 하던 기존의 작업을 땀배임방지 공기통로로 땀이 배지않고 쿠션감이 부드럽고
행복의자는 사용자에 따라 높낮이가 조절이 가능하고 고정벨트가 있어서 고정으로도 사용이 가능하지만, 쉽게 뒤로돌아서작업이 가능한 360도 회전가능하며 몸을 기울이면 의자부분이 15도까지 기울어지는 각도조절이 가능한 편안한 허리로 주변에 회전하며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해준다.

 

발명의 명칭 : 다목적 휴대용 의자,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일자 : 1014886240000 (2015.01.26), 출원인 : 주식회사 다목에코텍, 발명자 : 이준길, 최종권리자 : 주식회사 다목에코텍, 존속기간(예정) 만료일 : 2033년 12월 12일,
법적상태 : 소멸등록(등록원인 : 등록료불납, 2020년 11월 06일등록)

 

발명의 설명

기술분야

본 발명은 다목적 휴대용 의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좌판과 지지대의 사이에 형성된 탄성구조로 인해 작업시 엉덩이가 닿는 부분에 쿠션감을 주므로 기존의 고정구조에 비해 작업의 피로도가 덜 하여 작업의 효율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다목적 휴대용 의자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일반적으로 농어촌에서 작업을 할 때 다리가 아프지 않도록 간이 의자 또는 일정 높이의 스티로폼이나 플라스틱 받침대를 사용하고 있으나, 기존의 의자나 받침대는 작업자가 이동할 때마다 일일이 손으로 이동시킨 후 사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80145호에 "좌판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체결공에는 허리 체결밴드의 체결부가 체결되고 좌판의 저면에는 지지대가 체결되고 지지대에 설치된 고정대에는 높이 조절간이 끼움되어진 것에 있어서 상기한 좌판의 상면에는 체결 공과 체결볼트를 개재한 방석이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한 좌판의 저면에 체결된 지지대에 형성된 끼움부에는 걸림홈을 형성하여 고정대에 형성된 걸림턱이 끼움결점된 상태에서 핀에 의해 고정되고 고정대에 형성된 나사공에는 하단에 선택된 받침대가 체결된 조절간의 나사부가 나사끼움되어짐을 특징으로 한 휴대용 작업의자"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휴대용 작업의자는, 좌판의 저면에 지지대가 고정된 구조로 인해 작업시 엉덩이가 닿는 부분의 쿠션감이 덜하여 장시간 앉아서 작업하는 경우 피로감을 느끼고, 또 엉덩이가 딱딱함을 느끼게 되어 작업에 힘이 들어가므로 작업효율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1.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80145호

 

발명의 해결하려는 과제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좌판과 지지대의 사이에 형성된 탄성구조로 인해 작업시 엉덩이가 닿는 부분에 쿠션감을 주므로 기존의 고정구조에 비해 작업의 피로도가 덜하여 작업의 효율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다목적 휴대용 의자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과제의 해결 수단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휴대용 의자는, 하부가 개구된 파이프 형상의 스프링 안착부가 저부 중심에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 안착부와 소정간격 유지되도록 하부가 개구된 파이프 형상의 스프링 결합부가 외부에 형성되는 좌판; 상기 좌판의 저부에 결합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상기 나사산에 대응토록 끼움홈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의해 나사결합되는 받침대;로 구성되되, 상기 좌판과 지지대의 결합을 위해, 상기 지지대의 내부 상부에는 스프링 안착돌기가 형성되되, 상기 스프링 안착돌기에는 제1 스프링의 하단이 끼움·고정되고 상단은 좌판의 저면에 지지되어 상기 제1 스프링이 스프링 안착부의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위치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스프링 결합부가 위치한 좌판의 저면에는 다수의 스프링 고정구가 형성되되, 상기 스프링 고정구에는 지지봉의 상단이 걸리고 상기 지지봉은 지지대의 플랜지를 관통하여 하단이 고정캡에 의해 나사결합되며, 좌판과 플랜지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지지봉에 제2 스프링이 외삽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받침대의 테두리부 일측은 10~20°의 기울기(α)로 상부로 들리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효과

이처럼 본 발명은 좌판과 지지대의 사이에 형성된 탄성구조로 인해 작업시 엉덩이가 닿는 부분에 쿠션감을 주므로 기존의 고정구조에 비해 작업의 피로도가 덜하여 작업의 효율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 도 2. 다목적 휴대용 의자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 도 2의 분해도.

728x90
반응형

댓글